[2025 CDP 가이드라인] 복잡해 보이면 지는 거다! 핵심만 쏙 정리한 1편
[2025 CDP 가이드라인] 복잡해 보이면 지는 거다! 핵심만 쏙 정리한 1편
Jun 30, 2025
[2025 CDP 가이드라인] 복잡해 보이면 지는 거다! 핵심만 쏙 정리한 1편
[2025 CDP 대응 가이드 1편]
CDP 개요 및 ORS 작성 가이드라인
CDP 응답 시즌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특히 제조업에서는 고객사, 투자자, 글로벌 규제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따라 Scope 1·2·3 및 기후 리스크 정보의 투명한 공개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CDP의 개념부터 ORS(Online Response System)를 통한 응답 구조, 작성 전 준비사항까지 실무자 관점에서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CDP란 무엇인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환경 정보 공시 시스템입니다.

- 기업, 도시, 금융기관의 기후변화, 수자원, 산림 관련 정보를 공개
- 2024년 기준 24,800개 이상 기업이 응답
- ISSB, IFRS S2, CSRD 등 글로벌 공시 기준과 정합성 확보
- Disclosure → Awareness → Management → Leadership 단계별 점수 구조
2. CDP 설문 응답 구조 이해하기
▶ ORS(Online Response System)
CDP의 모든 응답은 ORS라는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며,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실시간 자동 저장 기능
- 항목별 섹션화 → 모듈 기반 구조
- 사용자별 권한 설정 및 공동 작성 가능
▶ 모듈 구조 개요 (2025 기준)
모듈 번호 | 주제 | 주요 항목 |
1~5 | 조직 개요, 리스크, 거버넌스, 전략 | 조직 경계, 기후 리스크, 전환 전략 등 |
6~11 | 환경 성과 (기후, 산림, 수자원, 플라스틱, 생물다양성) |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수자원 사용 등 |
12 | 금융 서비스 전용 (해당 기업만) | 자산별 탄소배출 영향 등 |
13 | 서명 및 추가 정보 | 경영진 서명 등 |
3. 응답 전 준비사항 체크리스트

🔹 조직 경계 설정
- 운영 통제(Operational Control), 재무 통제(Financial Control), 지분 기준(Equity Share) 중 택 1
🔹 Scope 1·2 산정 로직 정리
- 활동자료 기준 + 배출계수(GHG Protocol 기준 등)
- 전기, 열, 연료 사용량 등 세분화 필요
🔹 데이터 기준 연도 명확화
- 2025년 보고 → 일반적으로 2024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응답
- 회계연도 vs 일반연도 기준 여부 명시
🔹 부서 간 협업 체계 마련
- 환경, 생산, 회계, 전략, ESG 부서 등 협업 필요
- 일부 항목은 협력사, 외부 검증기관 정보 필요
4. 실무자들이 자주 혼동하는 항목 예시
문항 | 헷갈리는 이유 | 작성 팁 |
C6.1 | Scope 1·2 산정 방식 입력 | 산정 로직과 배출계수 출처를 구체적으로 기술 |
C7.6a | 에너지 사용량 분류 | 직접/간접 구분, 열/전기/연료 분리 필요 |
C9.1 | 공급망 참여 항목 | 고객 요청 여부, 협력사 정보 여부 확인 |
5. 실무자 FAQ (자주 묻는 질문)
- Q. ORS는 중간 저장이 되나요? A. 예, 실시간 저장됩니다. 단, 제출은 반드시 수동으로 해야 합니다.
- Q. 응답 수정은 언제까지 가능하나요? A. 마감일 전까지는 수정 가능하나, 제출 후에는 수정 시 '재제출' 필요
- Q. SME (중소) 기업도 CDP에 응답해야 하나요? A. 고객사 요청이 있거나, 향후 공개를 대비하는 경우 SME 설문(간소화 버전)으로 응답 가능
6. 결론: CDP는 구조화된 데이터 정리가 핵심
CDP 응답은 단순한 설문이 아니라, 기업의 기후 전략 및 데이터 관리 역량을 평가하는 체계적 보고 체계입니다.
Scope 1·2 데이터의 정확성, 거버넌스 체계의 명확성, 공급망 협력 여부 등은 모두 보고 답변 내에서 연결되며, “각 문항의 정합성과 실제 반복 실행 가능성”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편에서는 2025년 CDP 문항 및 평가 기준 변경사항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Share article
중요한 ESG 정보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