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RS 간소화, 기업에 기회일까 위기일까
ESRS 간소화는 보고 부담은 줄였지만, 투자자 요구와 데이터 신뢰성 관리가 더 중요해진 상황에서 기회이자 위기가 될 수 있습니다.
Aug 29, 2025
ESRS 간소화는 보고 부담은 줄였지만, 투자자 요구와 데이터 신뢰성 관리가 더 중요해진 상황에서 기업에 기회이자 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EU 집행위가 ESRS(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간소화 초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초안은 전체 공시 항목의 57%를 삭제하고,
중대성(Double Materiality) 평가 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보고 부담은 분명 줄어들었지만,
과연 이것이 기업에게 기회일까요, 아니면 새로운 위기의 신호일까요?
✨ ESRS 간소화 주요 변경점

📌 핵심 변화
- 기존 공시 항목: 1,144개 → 간소화 초안: 약 490개 (57% 축소)
- 중대성(Double Materiality) 평가 완화 → 기업 자율성 확대
즉, 형식적으로 보고서를 채우는 ‘양적 부담’은 크게 줄어들지만,
어떤 데이터를 보고할지는 기업의 책임으로 더 많이 넘어오게 됩니다.
🔍 산업별 영향 분석

긍정적 시각
- ✅ 불필요한 세부 지표 삭제 → 중소·중견기업의 보고 부담 완화
- ✅ 보고 준비 리소스 절감 → 핵심 데이터 품질 관리에 집중 가능
부정적 시각
- ⚠️ 보고 항목 축소 → 기업 선택에 따라 ESG 투명성 저하 우려
- ⚠️ 투자자·금융권 요구는 여전 → 실질적 보고 수준은 오히려 강화될 가능성
“중대성 평가 항목이 완화되면서 보고 부담은 줄지만, 투자자들의 정보 요구는 여전”
✅ 기업 보고 전략 재정비 가이드
간소화가 발표되었다고 해서, ESG 보고가 단순해졌다고 오해하면 위험합니다.
💡 전략 포인트

- 핵심 지표 유지: 삭제된 항목이라도 투자자·고객이 요구하는 경우 계속 관리 필요
- 데이터 품질 제고: 양이 줄어든 만큼, 보고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더욱 중요
- 내부 관리 체계화: 재무 데이터처럼 ESG 데이터도 “한눈에 확인·검증 가능한 체계” 필수
👉 단순히 ‘적게 보고한다’가 아니라, ‘정확하고 믿을 만하게 보고한다’로 방향을 전환해야 합니다.
🚀 결론: 기회와 위기는 종이 한 장 차이
ESRS 간소화는 단기적으로는 보고 부담을 덜어주는 기회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눈높이가 더 높아질 수 있는 위기이기도 합니다.
📌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 항목을 덜어내는 것보다,
- 남은 핵심 데이터를 얼마나 신뢰성 있게 관리·보고할 수 있는가입니다.
✨ CarbonLink는 CSRD·ESRS 대응을 위해
데이터 품질 관리와 자동화된 ESG 공시 지원을 제공합니다.
기업이 복잡한 규제 속에서도 효율적이고 신뢰도 높은 보고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hare article
중요한 ESG 정보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