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M의 2025년 요구사항 총정리 – 보고 안 하면 계약도 없다?

[2025년 업데이트] 글로벌 완성차는 협력사에 무엇을 요구할까?
Jun 23, 2025
OEM의 2025년 요구사항 총정리 – 보고 안 하면 계약도 없다?
💡
[2025년 업데이트] 글로벌 완성차는 협력사에 무엇을 요구할까?
안녕하세요! 공급망의 탄소 데이터를 쉽게 연결하는 솔루션, CarbonLink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부품사 실무자분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주제,
“완성차 고객사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걸 요구하나요?” 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최근에는 단순한 ‘탄소 감축 의지’가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 체계와 보고 방식까지 명시해서 요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주요 글로벌 완성차(OEM) 5개사(BMW, Mercedes-Benz, Volkswagen, 현대차, Stellantis)의 탄소 전략과 협력사 요구사항을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주요 OEM들의 탄소 전략과 협력사 요구사항 (2025년 기준)

OEM
탄소중립 목표
협력사에게 요구하는 핵심 사항
BMW
2030년까지 40% 감축 (2019년 기준)
- 공급망 CO₂ 감축계획 제출 - 주요 자재(알루미늄 등) 친환경 조달 - ESG 자가점검 및 제3자 검증
Mercedes-Benz
2039년
- Scope 1~3 배출량 감축 로드맵 - 고탄소 자재 사용 시 세부자료 제출 - 지속가능성 교육 이수 및 인증 요구
Volkswagen
2050년
- 공급망 배출량 ‘제로’ 전략 “To Zero” 연계 - 재생에너지 사용 전환 계획 - GHG 데이터 정기 보고
현대자동차
2045년
- SCEMS 시스템을 통한 실시간 보고 - 공정별 감축계획 및 사용 전력 공개 - 배출량 수치 정합성 요구 강화 중
Stellantis
2038년
- 부품별 CO₂ 기준 적용 및 계약 연동 - 재활용 자재 사용 계획 요구 - 공급사별 ESG 데이터 제출 의무화
💬 공통적으로 “감축 목표”뿐 아니라 “데이터 기반 보고”와 “공급망 전반의 투명성 확보”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BMW의 2030년까지 40% 감축 목표가 궁금하다면, 아래 콘텐츠 시리즈를 확인해보세요!

2. 실무자들이 꼭 챙겨야 할 대응 포인트

완성차들의 요구는 점점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우리 부품사들이 준비해야 할 주요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데이터 정합성 기반의 배출량 보고 체계

  • 단순 파일 제출이 아닌, 공정별 산정 논리 + 수치 근거까지 요구
  • 배출계수, 생산량, 에너지 사용량 등 정합성 검토 필요

2. 고탄소 자재(알루미늄, 강판 등) 관련 기준 대응

  • 재활용/저탄소 소재 사용 여부 보고
  • 해당 자재의 공급망까지 소급해 평가

3. 배출량 자가진단 및 제3자 검증 수요 확대

  • 배출원 항목별 데이터+증빙을 요청받는 사례 증가
  • 일부는 제3자 검증기관(KMR 등)을 통한 ‘외부 검증’ 요구

4. 디지털 보고 체계 연동

  • BMW·현대차는 Catena-X, SCEMS 등의 디지털 플랫폼과 연동된 데이터 제출을 권장
  • 수작업/엑셀 기반 대응의 한계 노출

3. 카본링크는 무엇을 도와드릴 수 있나요?

✔ 협력사가 준비해야 할 데이터를 항목별로 자동 정리
✔ OEM 요구 기반 템플릿 제공 → 보고용 파일 자동 생성
✔ Catena-X·SCEMS 등 주요 디지털 플랫폼 대응 구조까지 포함
✔ 반복 보고를 위한 주기적 자동 수집 기능 탑재

✅ 협력사 대응, 이제는 ‘전략’이 아니라 ‘실행’의 문제입니다. 실무자의 부담을 줄이고, 고객의 요구에 선제 대응하는 가장 빠른 방법. 카본링크가 함께 하겠습니다.
Share article
중요한 ESG 정보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상호: (주)리뉴어스랩 | 소재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5, 26층 | 사업자 등록번호: 616-88-02422 | 대표자명: 이재용 | 대표번호: +82-2-6207-7580 | 대표메일: admin@renewearth-la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