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량, 어디서부터 관리해야 할까? 공급망 탄소관리의 기초

공급망 탄소 데이터 요청, 왜 다들 회신을 안 할까?
Jun 30, 2025
탄소배출량, 어디서부터 관리해야 할까? 공급망 탄소관리의 기초
💡
공급망 탄소 데이터 요청, 왜 다들 회신을 안 할까?

💊 공급망 탄소관리가 어려운 진짜 이유

💁‍♂️ 많은 기업이 Scope 3를 ‘막연하게’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

탄소배출 관리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
‘Scope 3 산정 어려워요.’ 입니다.
왜 어렵게 느껴질까요??
🔍 Scope 1, 2는 내부 데이터지만, Scope 3는 외부 데이터입니다.
구분
발생 위치
대표 데이터 예시
난이도
Scope 1
자사 내부 (직접배출)
연료 사용량, 공정 중 배출 등
중간
Scope 2
자사 내부 (간접배출)
전기, 스팀 사용량
낮음
Scope 3
공급망 전반 (외부)
협력사의 생산활동, 운송 등
매우 높음
공급망 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데이터가 없어서가 아니라,
✔️ 누구에게 무엇을 요청해야 하는지 모르고
✔️ 공정 흐름과 공급망 흐름이 연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결국, 실무자는 ‘데이터 요청 자체’를 포기하게 되고, 응답률이 낮아지며 대응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이유입니다.
 

💁‍♂️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 ‘구조’에 있다

많은 실무자들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
시스템이 없어서 데이터를 못 받습니다’
‘협력사에 보냈는데 회신이 안 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시스템보다 ‘구조’가 없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공급망 탄소 데이터가 흘러야 할 흐름이 없다면, 자동화&보고는 불가능 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항목이 명확히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 수집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 (활동자료 유형, 단위 등)
✔️ 누구에게 요청해야 하는가? (공급사 담당자, 사업장 단위 등)
✔️ 어떤 형식으로 수집할 것인가? (템플릿, 주기, 범위 등)
 
이러한 ‘구조 설계’ 없이 시스템만 도입하거나 메일로 요청하면
📉 데이터 누락, 오류, 재요청, 응답 지연 등의 문제가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
 

💁‍♂️ 지금 OEM은 ‘공급망 탄소’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글로벌 OEM은 빠르게 방향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공급망이 있습니까?’를 묻던 시기를 지나, 🔍’공급망에서 얼만큼의 탄소가 배출 되었습니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OEM들의 실제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대・기아자동차 → SCEMS: 협력사에 월별 PCF 데이터 요구 GM → M2030: 부품별 Scope 3 배출량 제출 요청 BMW, 벤츠 → Catena-X: 공급망 ESG 데이터 연동 요구
 
✔️ 단순 응답이 아니라 구조화된 Product-level 탄소 정보가 요구되고 있으며,
✔️ 이를 제출하지 못하면 기업간 거래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탄소를 줄여야 한다’는 선언을 넘어서,
🔔
탄소가 어디서 발생하고 있는지 구조화를 통한 산정이 있어야만 생존이 가능합니다!
 
notion image
 

⛓️ 공급망 데이터를 정리하려면 공정 흐름부터 연결해야 한다

🔹 협력사 데이터를 받으려면 자사 공정 흐름부터 알아야 한다

공급망 탄소 데이터를 수집할 때, 실무자들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 ’우리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이 어떤 공정에서 만들어졌는지조차 모른다’는 점 입니다.
 
예를 들어, 휠베어링 제품 하나에 8개의 부품이 들어간다고 가정해보면,
각 부품은 다른 협력사에서 납품되며, 또한 각각 단조・선삭・열처리・조립 등 서로 다양하며 다른 공정을 거쳐 제조 및 납품됩니다.
 
🔭 부품별 공헝 흐름을 파악하지 않으면, 협력사에게 어떤 활동자료를 요청해야 할지조차 모릅니다.
결국 ‘Scope 3 데이터 요청’이 아니라, ‘협력사 및 공정 매핑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 공급망 관리를 위한 첫걸음은 공정-공급사-제품 구조 매핑

탄소 데이터 요청서를 만들기 전에 먼저 아래와 같은 공정 기반 구조도를 정리해야 합니다:
[제품명] = [부품 A + B + C...]       ↘︎ 부품 A (공급사1) = 단조 + 열처리       ↘︎ 부품 B (공급사2) = 사출 + 도장       ↘︎ 부품 C (공급사3) = 조립
 
이 구조가 명확해지면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 어떤 부품에 대해서 ✅ 어떤 공정에서 ✅ 어떤 활동자료(연료, 전기, 냉각수, 공정유 등)을 요청해야 할지 ✅ 누구에게, 어떤 양식으로 요청할지
 
🔔
즉, ‘공정 흐름’이 정리되어야 ‘공급망 배출량 요청’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이 맵핑이 되어있지 않으면, 요청서는 항상 포괄적이고 비정형적인 문서로 남아 응답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 단순 요청을 넘어서 ‘구조화된 설계’가 필요하다

많은 기업들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공급망의 기업들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귀사에서 생산한 제품의 탄소배출량을 알려주세요” → 답변: 무슨 기준으로요?? ⇒ 결과: 응답 없음
 
🔍 이 문제의 핵심은 요청 대상이 탄소배출량이 아니라 ‘활동자료’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탄소배출량 = 활동자료 x 배출계수이므로, 협력사에 요청해야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 되어야 합니다.
항목 대상
예시
요청 대상
납품하는 ‘볼트’
해당 공정
단조, 가공, 열처리, 표면처리(지오메트)
요청 자료
월간 전기 사용량, 연료 소비량
단위 기준
kWh, Nm3, kg 등
⇒ 이렇게 구조화 된 요청이 실제 공급망 기업들의 응답률을 높일 수 있고, 데이터 수집의 일관성 및 반복수집, 산정까지의 구조화의 첫 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notion image
 

🧮 Scope 3 관리는 보고가 아니라 경쟁력이다

💭 이제 OEM은 ‘탄소배출량 제출’을 요구한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공급망 기업에게 ESG 관련 요구는 느슨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아시다시피, 지금은 완전히 달라졌는데요,
❗ 글로벌 OEM들은 공급망 협력사에게 ‘Scope 1&2 뿐만 아니라, Scope 3 배출량 제출’을 계약 조건 수준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OEM
요구사항 예시
현대차
SCEMS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단위 PCF 제출 요청
GM
M2030 플랫폼을 통한 공급망 탄소배출량 모니터링 요청
BMW/벤츠
Catena-X 연동을 통한 검증된 협력사 데이터 수집 요청
이는 단순한 ‘윤리 경영’의 문제를 넘어,
📌
공급망 탄소 데이터를 제출할 수 없으면, 새로운 계약의 기회 자체를 놓칠 수 있는 문제입니다.
 

💭 Product-level PCF 요구는 대응할 수 있는 기업만 살아남는다

이제 OEM은 단순히 ‘귀사는 연간 몇 톤의 탄소를 배출하나요?’를 묻지 않습니다.
대신에, “이 부품 하나는 생산 시 몇 kg의 CO₂e가 배출되나요?” 라고 묻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선 제품별로 다음 요소들이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1️⃣ 부품별 배출원 맵핑 (어떤 공정에서 배출되는지?)
2️⃣ 공정별 활동자료 수집 (에너지, 재료, 폐기물 등)
3️⃣ 배출량 산정 및 단위당 환산 (PCF 단위: kgCO₂e/unit)
 
🔍 이러한 ‘제품단위 정량 보고’는 일회성 작업이 아닌 정기적인 제출과 검증 체계가 필요합니다.
 
즉, 구조화된 시스템 없이 반복 대응은 불가능하며,
📉
지속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협력사는, 공급망 내에서 배제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선제적으로 대응한 기업은 ESG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는다

다행히 많은 기업들은 이 흐름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먼저 제품별 PCF 데이터 체계를 정립하고,
✔️ 협력사에게 활동자료를 요청할 수 있는 양식을 마련하고,
✔️ 산정 기준을 사내 시스템에 내재화한 기업들
👉 OEM과의 지속적인 거래가 가능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수주 우위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 ESG 요구사항은 기업별 ‘실무 대응력’을 그대로 드러내는 기준이 되고 있으며,
✔️ ESG 보고는 더 이상 외부 평가 대응용 문서가 아니라
🔔
실제 수주 경쟁력과 직결된 경영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notion image
 

💽 데이터는 관리되지 않으면 수집되지 않는다

🏈 협력사에 요청만 하면 데이터가 올 거라는 착각

많은 실무자들이 공급망 Scope 3 대응을 시작할 때 이렇게 접근합니다.
“협력사에 엑셀 양식 보내서 작성해 달라고 요청하자” ”회신이 오면 그걸 바탕으로 배출량을 계산해보자”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 회신율은 낮고,
🔫 회신된 데이터는 제각각이며,
🔫 수치가 이상해도 문의할 담당자가 없습니다.
 
문제는 요청 방식이 아니라, 요청 ‘구조’가 없다는 것입니다.
단순 양식 발송만으로는 지속적 수집도 불가능하고, 데이터 정합성이나 반복성도 확보할 수 없습니다.
 

🏈 공급망 데이터 수집은 ‘정보 흐름’을 설계하는 일이다

Scope 3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선 단순한 요청이 아니라 ‘흐름 설계’가 필요합니다.
[제품][부품별 공정][공급사][활동자료 항목][데이터 입력 주체][입력 시점]
 
이러첨 데이터를 수집하려면,
누가, 언제, 어떤 단위, 어떤 형식으로 입력할지가 명확해야 합니다.
이 모든 흐름이 연결되어야 자동화가 가능해집니다.
 
notion image
 

공급망이 복잡할수록, 구조가 먼저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탄소배출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감축 기술이 없어서가 아니라, 구조가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Scope 3, 즉 공급망 배출량은 요청만 한다고 수집되지 않고, 시스템만 도입한다고 자동화되지 않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 공정 흐름과 공급망 구조를 연결하고
☑️ 제품 단위로 활동자료 수집 기준을 세우며
☑️ 협력사와의 데이터 흐름을 정리할 수 있는 체계입니다.
 
이 과정을 선제적으로 구축한 기업만이
📈 글로벌 OEM의 요구에 대응하고
📈 ESG 기반 수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탄소배출 관리의 핵심은 ‘줄이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공급망이 복잡해질수록, 지금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 구조를 만들고 흐름을 정리하는 일입니다.
 
notion image
Share article
중요한 ESG 정보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상호: (주)리뉴어스랩 | 소재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 165, 26층 | 사업자 등록번호: 616-88-02422 | 대표자명: 이재용 | 대표번호: +82-2-6207-7580 | 대표메일: admin@renewearth-lab.com